애드웨어 12

Web Companion 프로그램 설치 및 삭제하는 방법, 프로세스 정보

Lavasoft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 중에 Web Companion 이라는 프로그램이라고 있습니다. 이름만 봐서는 어떤 프로그램인지 확인이 어려운데요. 직역하자면 웹 동반자(?) 동료(?) 뭐 이렇습니다. 제작사 홈페이지에 가서 확인해보면 멀웨어 및 애드웨어 차단 프로그램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은 인지도가 매우 낮고 평판도 안좋기 때문에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주로 설치가 됩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는 무조건 다음 다음 누르지 마시고 화면에 나오는 설치화면을 잘 보고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생각없이 다음 다음 동의 그런거 누르면 애드웨어나 악성코드같은 프로그램이 몰래(사용자 동의하에) 설치가 되기도 합니다. (이 프로그램도 여기에 속함) 프로그램 설치부터 삭제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프로그램정보 2022.02.25

다잡아 AD-Spider 프로그램 설치 및 삭제하기, 프로세스 상세정보

디지털온넷에서 제공하는 악성코드 및 애드웨어 제거프로그램 다잡아 AD-Spider 프로그램의 설치 및 삭제, 프로그램 설치시 생성되는 파일과 레지스트리 변경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등록이 필요한 유료제품이며, 그리 추천할만한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테스트한 설치파일의 속성입니다. 파일이름 : adspidersetup.exe 파일버전 : 9.0 제작사 : (주)디지탈온넷 제품이름 : 다잡아 AD-Spider 파일해시 MD5 : f7a3be6450be505a203616c347a8b4b0 파일해시 SHA1 : e89d5287e57336e3cf8f6882947fd54460f1d105 파일해시 SHA256 : fbbdd7e1b06e9e945a18c0489410b083996f2..

프로그램정보 2022.02.17

곰플레이어 프로그램 설치시 동반 설치되는 스폰서 프로그램 분석

동영상 플레이어로 많이 알려진 곰플레이어를 많이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곰플레이어를 설치할 때 추가로 설치되는 스폰서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한 설치파일 속성입니다. 파일이름 : NEW_GOMPLAYERSETUP.EXE 설명 : 곰플레이어 설치 파일 파일버전 : 2.3 제작사 : GOM & Company 제품이름 : 곰플레이어 코멘트 : 곰플레이어 설치 파일 (2022-01-18 10:02:51) 저작권 : Copyright 2003 GOM & Company All Rights Reserved. 파일해시 MD5 : b3849676dfe075075098bf8d1efe36e1 파일해시 SHA1 : 3d5b967aa4e2c89f08415e9a527bd99e572e19cb 파일해시 ..

프로그램정보 2022.01.23 (4)

카카오툴즈에서 배포하는 카카오인코더 설치 프로그램 분석

카카오툴즈라는 회사(?)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 카카오인코더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이 프로그램은 다음 카카오와는 전혀 무관한 업체입니다. 사업자 등록을 하고 운영하는 업체인지 개인개발자인지는 모르겠으나 악성 프로그램에 가까운 카카오인코더(CacaoEncoder)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도 이 프로그램의 다른 스폰서 프로그램에 대해서 글을 작성한 적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어떤 스폰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말이 스폰서 프로그램이지 악성코드나 다름없음) 테스트에 사용된 설치 프로그램 파일 상세정보 미디어x릭은 삐 처리 하였습니다. 이런 게시글은 블러 처리가 될 가능성이 높거든요. 미디어x릭은 이쪽으로(?)유명한 프로그램입니다. 파일이름 : cacaoe..

프로그램정보 2021.10.01

시작 프로그램, 서비스, 스케쥴러 한번에 삭제 - WindowexeAllkiller

부팅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 윈도우 서비스, 작업스케쥴러를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상태를 원래대로 복구(자동삭제)하는 자작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를 잘 모르시는 분이거나 누구나 막 사용하는 공용 컴퓨터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마구잡이로 설치하게 되므로 시작 프로그램이나 설치된 서비스가 많아서 컴퓨터 사용시 버벅되거나 랙이 생기거나, 이유없이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매번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도 일이고 쓸데없는 프로그램을 찾는 것도 일이지요. 디스크백업이나 복구같은 그런 방식은 아니고 시스템을 저하 시킬만한 요소들(시작프로그램, BHO, 툴바, 서비스, 작업스케쥴러, 그룹정책, 다운로드 매니저, 탐색기 쉘확장메뉴, 로그온쉘, AppInit 설정)을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시스템 설정을 저..

자작프로그램 2021.08.21 (6)

브이코덱(VCodec) 설치할 때 파트너 프로그램 상세정보

브이코덱(VCodec)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통합코덱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아직도 이런 프로그램을 찾는 사용자가 있습니다. 브이코덱 설치화면입니다. 오른쪽에 파트너 프로그램이 체크되어 있네요. 이상태로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후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목록입니다. 두개의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인포(SysInfo) 와 한캡쳐플러스(드림위즈인터넷 제공) 입니다. 시스인포 프로그램은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며, 쓸데없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한캡쳐플러스 프로그램은 캡쳐 프로그램이기는 하나 대체 프로그램이 많으므로 굳이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프로..

프로그램정보 2020.11.17

Windows NewsFeed Client 프로그램의 정체 및 삭제하기

Windows NewsFeed Client 프로그램, 설치폴더 이름 Windows NFC 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NFC는 뉴스피드 클라이언트의 줄임말이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뉴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프로그램은 뉴스를 제공한다는 것보다 자사의 광고를 홍보하기 목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쓰잘데기 없는 프로그램이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 이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을지 궁금하시죠. 아래 스크린샷은 동영상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스크롤 제일 하단에 스폰서 관련 프로그램이 체크되어 있습니다. 스폰서 프로그램이 표시되는데 여기에서 무심결에 다음을 클릭하면 스폰서 프로그램들이 설치됩니다. 랭키툴바 및 ..

프로그램정보 2020.11.14

MatchPop 광고 프로그램 삭제하기 - MatchPop.exe

팝업광고 프로그램인 매치팝(MatchPop)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광고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 할때 다음 다음 확인을 아무 생각없이 누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프로그램이 왜 컴퓨터에 설치가 되었는지 알지를 못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나 애드웨어나 다름없으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관리자 실행화면입니다. MatchPop.exe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프로세스만 종료해도 광고창이 뜨지 않지만 시작프로그램에 추가되어서 재부팅을 하면 또 다시 실행이 됩니다. 프로세스 종료후 시작 프로그램항목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됩니다. 설치폴더의 파일 목록입니다. C:\Users\Username\Ap..

프로그램정보 2020.11.14

SwiftDataInfo 팝업광고 프로그램 삭제하는 방법

일반적인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컴퓨터에 설치할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SwiftDataInfo 팝업광고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름만으로는 어떤 프로그램인지 전혀 알 수가 없으며, 파일경로나 파일의 속성을 봐도 무슨 프로그램인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팝업광고나 쇼핑몰바로가기 생성, 악성코드 또는 애드웨어의 설치가 목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실행화면입니다. swiftdata.exe , swiftdatas.exe 두개의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설치폴더의 파일목록입니다. dll 파일과 응용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실행파일 목록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exe C:\Users\사용자이름\AppDa..

프로그램정보 2020.11.11 (10)

Smart Service 프로그램 설치경위 및 SmartService.exe 제거하기

컴퓨터 전문가라도 이름을 봐서는 짐작할 수 없는 이 프로그램의 정체 및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체가 불분명한 프로그램들은 이름이 아주 교묘해서 어떤 프로그램인지 확인을 할 수 없는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걸 지워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할 때가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를 이용시 ISP 카드결제를 이용할 때 결제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요. 그때 결제완료 화면에서 쇼핑도우미를 추가로 설치할 것인지를 체크박스로 물어봅니다. 실사용자는 그걸 인지하기 못하고 그냥 결제완료를 클릭하고나서 이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는거지요. 프로그램의 이용약관을 자세히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제보를 받은 바로는 쇼핑몰 바로가기를 바탕화면에 생성하거나 팝업광고를 띄우는 용도로 추정이..

프로그램정보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