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65

단축키를 사용해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모두 강제종료하는 프로그램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를 사용해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모두 강제 종료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특정 프로세스만 단축키를 사용해서 종료하거나, 특정 프로세스 그룹을 한번에 종료하거나, 신뢰하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활성화된 프로세스 종료 기능 추가) 아래에 있는 첨부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압축을 풀고 프로그램을 실행하세요. 관리자 권한 필요 작업표시줄 오른쪽 시스템 트레이에 X 모양의 아이콘이 생기는데요. 마우스 우클릭해서 프로그램 설정을 누르세요. 프로그램 설정화면인데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모두 표시됩니다.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시스템 프로세스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핵심 프로세스들만 제외 이 프로그램 동작방식은 크게 나눠서 세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자작프로그램 2021.09.07 (37)

시작 프로그램, 서비스, 스케쥴러 한번에 삭제 - WindowexeAllkiller

부팅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 윈도우 서비스, 작업스케쥴러를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상태를 원래대로 복구(자동삭제)하는 자작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를 잘 모르시는 분이거나 누구나 막 사용하는 공용 컴퓨터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마구잡이로 설치하게 되므로 시작 프로그램이나 설치된 서비스가 많아서 컴퓨터 사용시 버벅되거나 랙이 생기거나, 이유없이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매번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도 일이고 쓸데없는 프로그램을 찾는 것도 일이지요. 디스크백업이나 복구같은 그런 방식은 아니고 시스템을 저하 시킬만한 요소들(시작프로그램, BHO, 툴바, 서비스, 작업스케쥴러, 그룹정책, 다운로드 매니저, 탐색기 쉘확장메뉴, 로그온쉘, AppInit 설정)을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시스템 설정을 저..

자작프로그램 2021.08.21 (6)

WGear (KV3 Prod) 프로그램이 뭐지? 삭제하는 방법은?

WGear (KV3 Prod) 프로그램의 정체가 뭔지, 왜 이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지, 삭제방법은 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는 아니고요. 인터넷 뱅킹이나 관공서 같은 사이트를 이용할 때 설치되는 보안 프로그램입니다. HTML5 외부 연동 솔루션이라고 제작사에서는 소개를 하고 있는데요. 이게 보안 프로그램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보안 프로그램 보다는 웹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에 가까운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때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식을 많이 하고 있기는 하죠. 배포는 은행사이트나 관공서에서 하지만 실제 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곳은 [인스웨이브시스템즈]입니다. 작업관리자를 실행해보니 WGear.exe 프로세스가 ..

프로그램정보 2020.12.20

KOSCOM 보안 로그 수집기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 상세정보

인터넷 뱅킹 사이트를 이용할 때에 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 KOSCOM 보안 로그 수집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세스의 이름은 KOSCOMSecLogGather.exe 이며, 서비스 프로세스에 추가되어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작업관리자 실행화면입니다. 프로그램의 이름보면 알 수 있듯이 보안관련 로그 수집프로그램이며,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는 아니므로 안심해도 됩니다. 작업관리자를 실행해서 프로세스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안함으로 설정하는 경우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때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니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려면 원래대로 설정하세요. 서비스 탭으로 이동해서 서비스 열기를..

프로그램정보 2020.11.30

IPinside LWS Agent 프로그램 정보 및 삭제하는 방법

인터리젠(interezen)이라는 회사에서 제작하는 프로그램인 IPinside LWS Agent 프로그램이 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뱅킹이나 관공서, 카드사, 보험사 같은 사이트를 이용할 때 설치되는 보안 프로그램으로 개인정보 유출방지 및 사이버공격자 정보등을 수집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작업관리자를 열어서 확인해보면 두개의 프로세스가 실행중입니다. I3GMainSvc.exe I3GProc.exe 파일명이 조금 특이하긴 한데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는 아닙니다. IPinside LWS Agent 프로그램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작업관리자 - 시작 프로그램으로 이동해서 Interezen Process 를 마우스 우클릭해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하세요. 서비스탭으로 이동해서 서비스열기..

프로그램정보 2020.11.26

엔프로텍트 nossvc.exe nosstarter.npe 프로세스 중지하기

인터넷 뱅킹 이용시 주로 설치되는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nProtect Online Security, (제작사 잉카인터넷(INCAInternet))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뱅킹 사이트 말고도 관공서나 보험사, 카드사 등을 이용할 때에도 주로 설치됩니다.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는 아니지만 시스템 자원을 좀먹는 악성 프로그램에 가깝습니다.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해보겠습니다. nossvc.exe nosstarter.npe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없습니다.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라고 나오네요. 그렇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일반모드로 부팅해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작업을 해야 되는데 귀찮은 작업이죠. 전에 만들었던 프로그..

프로그램정보 2020.11.24

브이코덱(VCodec) 설치할 때 파트너 프로그램 상세정보

브이코덱(VCodec)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통합코덱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아직도 이런 프로그램을 찾는 사용자가 있습니다. 브이코덱 설치화면입니다. 오른쪽에 파트너 프로그램이 체크되어 있네요. 이상태로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후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목록입니다. 두개의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인포(SysInfo) 와 한캡쳐플러스(드림위즈인터넷 제공) 입니다. 시스인포 프로그램은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며, 쓸데없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한캡쳐플러스 프로그램은 캡쳐 프로그램이기는 하나 대체 프로그램이 많으므로 굳이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프로..

프로그램정보 2020.11.17

Windows NewsFeed Client 프로그램의 정체 및 삭제하기

Windows NewsFeed Client 프로그램, 설치폴더 이름 Windows NFC 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NFC는 뉴스피드 클라이언트의 줄임말이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뉴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프로그램은 뉴스를 제공한다는 것보다 자사의 광고를 홍보하기 목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쓰잘데기 없는 프로그램이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 이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을지 궁금하시죠. 아래 스크린샷은 동영상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스크롤 제일 하단에 스폰서 관련 프로그램이 체크되어 있습니다. 스폰서 프로그램이 표시되는데 여기에서 무심결에 다음을 클릭하면 스폰서 프로그램들이 설치됩니다. 랭키툴바 및 ..

프로그램정보 2020.11.14

MatchPop 광고 프로그램 삭제하기 - MatchPop.exe

팝업광고 프로그램인 매치팝(MatchPop)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광고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 할때 다음 다음 확인을 아무 생각없이 누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프로그램이 왜 컴퓨터에 설치가 되었는지 알지를 못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나 애드웨어나 다름없으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관리자 실행화면입니다. MatchPop.exe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프로세스만 종료해도 광고창이 뜨지 않지만 시작프로그램에 추가되어서 재부팅을 하면 또 다시 실행이 됩니다. 프로세스 종료후 시작 프로그램항목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됩니다. 설치폴더의 파일 목록입니다. C:\Users\Username\Ap..

프로그램정보 2020.11.14

SwiftDataInfo 팝업광고 프로그램 삭제하는 방법

일반적인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컴퓨터에 설치할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SwiftDataInfo 팝업광고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름만으로는 어떤 프로그램인지 전혀 알 수가 없으며, 파일경로나 파일의 속성을 봐도 무슨 프로그램인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팝업광고나 쇼핑몰바로가기 생성, 악성코드 또는 애드웨어의 설치가 목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실행화면입니다. swiftdata.exe , swiftdatas.exe 두개의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설치폴더의 파일목록입니다. dll 파일과 응용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실행파일 목록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exe C:\Users\사용자이름\AppDa..

프로그램정보 2020.11.11 (10)